[기자 회견문] 2014년 4월 16일 476명의 승객을 태운 세월호가 진도 앞바다에 침몰하는 순간 우리 대한민국도 함께 침몰하였다.
영문도 모른 채 “가만히 있으라”라는 무자격 선원들의 방송을 믿고 지시대로 따랐던 단원고 학생들과 선량한 승객들은 지시에 순응한 댓가로 소중한 생명을 빼앗기고 말았다.
우리는 서서히 차디찬 바닷물 속으로 가라앉는 세월호를 속수무책으로 바라보기만 하다가 스스로 배에서 뛰어내린 자력 탈출승객을 건져 올린 것을 제외하고는 배 안에 갇힌 단 1명의 승객도 구해내지 못한 이 정부의 무능함과 무책임함, 사후 처리과정에서 보여준 정부와 그 책임자들의 후안무치하고 뻔뻔스러운 책임전가를 목도하고 망연자실하고 말았다.
안타까운 304명 영령들의 죽음 앞에서 온 국민들이 슬픔에 빠져 분향소에서, 거리에서, TV 화면 앞에서 눈물을 흘리고 촛불로 추모할 때 소위 지도자들이라고 자처하는 자들이 세월호 유가족과 추모하는 선량한 국민들을 폄훼하며 모욕하기를 주저하지 않았던 것을 우리는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
온 국민들이 진정 슬퍼한 것은 304명이라는 희생자 숫자가 많아서가 아니라, 국가가 모든 수단을 다해 보호해 주어야 할 국민들의 소중한 생명이 차디찬 바다 속으로 수장되는 것을 지켜보아야만 하는 현장을 두 눈을 뜨고 똑똑히 보았기 때문이다.
아아, 국가가 무엇인가? 도대체 위험에 처한 자기 국민의 목숨을 지켜주지 못하는 국가가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국민이 위임한 공권력과 행정력을 국민을 보호하는데 쓰기보다는 정권의 안위와 국민들을 통제하는데 사용하기에 익숙해진 필연적 결과가 아닌지 우리 성남지역의 시민사회는 의구심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성남지역의 건강한 시민사회 담론을 형성하고 지역봉사에 애써 온 우리 성남사회단체연대회의 소속 11개 단체는 세월호 참사로 인해 우리 사회의 국민과 국가 간의 기본적인 신뢰가 무너지고 시민들이 슬픔을 가누지 못한 채 상처를 안으로 키워가는 안타까운 현실을 바라보고만 있을 수 없어 4월 17일부터 6월 10일까지 55일간 연속으로 야탑역 광장에서 세월호 추모사업을 진행하여 왔다.
<세월호 승객 무사생환 염원 기도회>, <희망 메시지 쓰기>, <추모 기도회>, <합동분향소 운영>, <노란리본 달기>, <매일 추모의 촛불들기>, <추모촛불문화제>, <유가족 지지서명운동> 등을 진행하면서 우리는 시민들이 슬픔을 가누지 못해 울 때 함께 눈물을 훔치면서, 때로는 함께 분노하면서 55일을 보냈다.
이 기간 동안 우리 시민단체들은 대한민국호의 침몰에 대한 책임이 세월호 선원들과 소속 선박회사, 관련 정부당국과 최고 통치자에게만 있지 않고 돈이 최고라는 가치에 현혹되어 성장과 성공을 위해서 앞만 보고 달려 온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에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이렇게 ‘고삐 풀린 사회’에 대해 뚜렷한 경종을 울려주지 못하고 생명의 소중한 가치를 제대로 구현해 내는데 실패한 우리 시민사회의 안일함과 무능함을 뼈저리게 느끼고 똑 같은 비중으로 책임을 통감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
이후 우리 시민사회는 돈보다 생명존중 가치가 우선되는 사회와 안전한 나라를 위한 환경 및 의식구조 개혁에 방점을 두고 활동의 전망을 세워나갈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월호 참사의 실체적 진실이 규명되고 책임자가 엄중하게 가려져 합당한 처벌을 받는 것만이 희생자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이자 추모의 출발점이 되고, 유가족과 국민들의 슬픔을 위로할 수 있는 최선의 수단이 된다는 것에 이의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우리는 추모를 넘어서서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서명운동에 동참하고자 한다.
이 서명운동을 통해 세월호 참사의 진상을 널리 알리고 시민들로 하여금 책임자 처벌 및 진상규명의 중요성을 동의하며, 대한민국이 세월호 참사 이후의 새로운 사회질서를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도록 100만 성남시민의 마음과 힘을 모으고자 한다.
모든 성남시민 여러분과 성남지역 시민사회단체 소속 회원들께서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서명운동에 동참해 주셔서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데 힘을 보태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리며 이번 2014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성남시의 정치인들도 이번 참사를 정략적 차원에서 이용하려는 그릇된 생각에서 벗어나 시민들의 안전대책에 대하여 심사숙고하여 대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을 촉구하는 바이다.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을 위한 성남사회단체연대회의 대책위원회
(성남YMCA/성남참여자치시민연대/성남KYC/(사)성남여성의전화/성남환경운동연합/한살림 성남용인/분당환경시민의모임/성남YWCA/주민생협/성남녹색소비자연대/민족문제연구소 경기동부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