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l  로그인  l  회원가입  l  아이디/비밀번호찾기  l  최종편집일: 2025.4.21 10:33 (일)
글씨크기 크게  글씨크기 작게  기사 메일전송  기사 출력  기사스크랩
 http://www.fmnara.com/news/12331
발행일: 2012/04/09 15:46  FM분당
산후풍
2012년15주차-방송내용

<2012년15주차-방송 다시 듣기>

 

 

 

 

*월~금 아침8시에 방송중입니다.

(주파수90.7Mhz/ 스마트폰r-2플레이어/ 홈페이지 생방송듣기)

 

 

 

 

 

안녕하세요. FM분당 건강칼럼입니다.

 

가는 겨울이 아쉬운 듯 간간이 꽃샘추위가 몰려옵니다. 이 시기에는 출산이 임박한 임신부와 아기를 낳은 산모가 특히 조심해야 하는데요. 산후풍이 찾아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산후풍이란 아이를 낳은 뒤 몸에 발생하는 후유증을 말합니다. 뼈마디가 아프고, 관절이 시리고, 식은땀을 흘리거나 몸을 떠는 증상이 대표적인데요.

 

산후풍에 관한 임상 연구 자료에 따르면, 1~2월과 11~12월에 출산한 산모에게서 산후풍 발생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기온이 낮아지고 찬바람이 많이 불 때, 낮과 밤의 급격한 일교차로 인해서 산후풍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인데요.

 

이 시간에는 분당자생한방병원 박경수 원장님과 함께 산후풍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어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원장님.

 

 

 

 

1. 산후풍이란 무엇인가요?

 

출산 후에 여기저기 관절이 아프거나 몸에 찬 기운이 도는 증상을 흔히 산후풍(産後風)이라고 합니다.

대개 산후조리가 잘못 되어서 산후풍이 생긴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산후풍은 왜 생기는 것일까요?

출산은 여성의 몸에 굉장히 큰 변화를 가져오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출산의 고통이나 출혈, 수술 등으로 인해 몸의 기혈이 매우 쇠약해지지요.

 

그리고 이런 상태는 시간을 두고 서서히 회복이 됩니다. 이런 기간을 보통 산욕기라고 하지요. 일반적으로 산욕기는 산후 6주 정도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최소의 기간을 설정한 것입니다. 실제로 산모의 건강상태나 환경적인 요인을 고려할 때에는 이보다 더 길게 산욕기를 가져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이런 시기에 건강관리를 소홀히 하게 되면 산후풍이라는 정체불명의 질환이 찾아오게 되는 것이지요. 산후풍이란 말에서 풍은 말 그대로 바람을 뜻합니다. 쉽게 말해서 산후에 바람을 맞는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산후에는 절대로 찬바람을 쐬지 말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찬바람 뿐 아니라 찬물에 손을 담그거나 찬물에 몸을 씻는 것도 중요한 원인이 됩니다.

 

그 외에도 지난번에 말씀드린 몇 가지 주의사항을 지키지 않는 것도 원인이 되지요. 분만 후에는 자궁이나 골반의 상태가 매우 허약하고 기능이 떨어져 있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외부에서 찬 기운이 들어오면 곧장 아랫배 쪽으로 냉기가 파고들지요.

 

이렇게 자리잡은 차가운 냉기는 두고두고 병적인 증상을 일으킵니다. 특히 자궁의 혈액순환을 방해하고 어혈을 생기게 하지요. 그리고 생식기능, 비뇨기계통으로 기능을 떨어뜨립니다. 또, 하체로 가는 혈액순환까지 장애를 받게 되어서 무릎이 시리거나 관절염이 생기게도 합니다.

 

그리고 산후풍이 더 잘 올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개 제왕절개 수술을 하거나, 분만시에 출혈이 심했거나, 산모가 평소 몸이 허약한 경우, 임신 중에 입덧이 심해서 영양장애가 있었거나 임신중 트러블이 많았던 경우 등에서 산후풍이 더 잘 생깁니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에 해당되는 분들은 더욱 주의를 하셔야겠지요.

 

 

 

 

 

2. 산후풍의 증상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산후풍의 증상으로는,

 

첫째. 허리나 무릎, 발목, 손목 등의 관절에 통증이 오거나 동시에 여러군데의 관절에 통증이 올 수 있습니다.


둘째. 몸의 일부가 특별히 시리거나 전체적으로 으슬으슬 춥기도 합니다.


셋째. 팔다리가 저리거나 어깨나 뒷목이 아프기도 합니다.


넷째. 별 이유 없이 땀이 흐르면서 몸이 무기력해지기도 합니다.


다섯째.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고 식욕이 크게 저하됩니다.


이런 증상의 일부가 보이거나 자신과 흡사하다고 생각되면 산후풍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예방이 최선이겠지만 일단 산후풍의 증상이라고 보이면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해볼 수 있는 방법으로는 오가피(五加皮)나, 두충(杜冲)을 하루분량 10-20g 정도로 해서 차를 대신해서 다려서 먹는 방법이 있지만, 증상이 심하면 전문의와 상의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하겠습니다. 

 

 

 

 

 

3. 올바른 산후조리법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산후조리 기간은 의학적으로 6~8주 기간을 말하며 임신과 출산으로 인하여 변화된 모체가 임신전의 상태로 회복되는 기간이며 그중 특히 3~4주는 생식기인 자궁이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는 기간입니다.

 

 이 기간동안 산후조리를 소홀히 하면 평생을 고생하게 되며 비만, 관절통, 요통, 사지 저림, 냉증, 월경불순, 기미, 산후풍, 골다공증 등의 질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점 


1. 집안일 : 3주부터 서서히 시작하도록 합니다. 퇴원 후 2주 정도는 자리에 누워서 지내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 1주일은 누워있는 시간을 길게 하고, 다음1주일은 자리에서 일어나 있는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목욕 : 샤워는 3일 후부터, 목욕은 한달 후부터 시작합니다. 한여름이라도 반드시 따듯한 물로 샤워하도록 합니다. (욕조에 몸을 담그는 목욕은 세균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삼가도록 , 오로가 없어지는 약 한달 정도 후에 하도록 할 것) 


3. 보온 : 가장 알맞은 실내온도는 20℃이며, 습도는 60% 정도가 좋습니다. 그리고 실내는 항상 신선하고 맑은 공기로 환기를 시키도록 합니다. 


4. 외출 : 출산 후 4주가 지나면 가까운 곳에 가벼운 외출은 할 수 있으며 6주 후면 스스로 운전을 하는 것도 가능해지며 아기와 함께 외출을 할 수도 있지만 8주전까지는 가볍게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5. 식생활 : 출산 후 산욕기는 필요한 열량은 하루 2,700kcal로 임신후 살을 뺀다고 적게 먹으면 아이도 조금밖에 못 먹는 다는 사실 명심하셔야합니다!


6.  성생활 : 부부관계는 출산 후 약 2~3주부터 가능하나 회음절개 부위가 아물고 질과 자궁이 복구되는 6주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분당자생한방병원 박경수 원장님이었습니다. 말씀 고맙습니다.

 

산후풍은 치료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예방에 신경을 써야합니다. 우선적으로 명심해야 할 것은 출산 후에는 차가운 기운을 접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과도한 땀의 배출과 지나친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 충분한 영양섭취는 물론 정신적인 안정을 취해주는 것과, 분만 후에 어혈을 제거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간혹 점점 날씨가 따뜻해진다고 해서 산후풍에 대해서 방심하는데요. 산후풍은 계절에 관계없이 발생하기 때문에 항상 조심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또한 산후풍은 평생 간다는 말이 있는데요, 산후풍 환자 중에는 평생 낫지 못할 것이라는 걱정으로 오히려 병을 더 키우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못된 산후조리나 치료로 병을 키워나가면 산후풍이 평생 산모를 괴롭힐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산후풍을 잘 관리하고 치료하면 깨끗하게 나을 수 있는 병이라고 하니, 자신감을 가지고 치료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겠죠.

 

지금까지 FM분당 건강칼럼이었습니다.

 

 

 

 

 


건강칼럼은 FM분당 홈페이지에서 방송내용과 함께 다시 들을 수 있습니다.

 

 

 

 

분당자생한방병원☞http://www.jaseng.co.kr/MENU_NEW/BRANCH/BRANCH1/BRANCH1/read.asp?hBCODE=CD_BCODE_003


관련기사
얼굴이 잘 붓나요?  성남FM (05.13)
방광염  성남FM (05.09)
만성피로증후군②  성남FM (04.30)
만성피로증후군①  FM분당 (04.23)
'입술'트는 현상  FM분당 (03.31)
'홧병'이란?  FM분당 (03.26)
생리통의 원인과 치료  FM분당 (03.20)
생리통의 이해  FM분당 (03.13)
입 냄새! 원인과 치료법  FM분당 (03.07)
고혈압...왜 무서운가?  FM분당 (02.25)
잘 체한다구요?  FM분당 (02.06)
알레르기 비염  FM분당 (01.24)
냉증(아랫배가 차가워요)  FM분당 (01.17)
스트레스 탈출법!  FM분당 (01.17)
banner_onair.jpg
성남FM프로그램편성표
뉴스속보

에너지절약 실천 매뉴얼

건강관리협회_강남
산업진흥재단
2022.성남시청소년재단
에너지관리공단 경기지역본부.facebook
분당 세무서
감성인터내셔널코페아커피
성남시청
경기도청
페이스북배너
트위터
캘리작가진성영
 
  l   회사소개   l   이사장인사말   l   조직도   l   연혁   l   후원안내   l   광고안내   l   제휴안내   l   교육안내   l   찾아오시는길   l   기사제보   l   개인정보보호정책   l